Project [Non-standard Immortal Contract], 2023-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technology and art
Concept & Direction : Yena Kim
En
The project [Non-standard Immortality Contract] breaks down boundaries and delves into the "posthumous digital data" embedded deeply in our technologically driven society. It explores the futuristic visions enabled by technology and the ethical, social, and institutional fractures that arise from them. Within the blurred boundaries between life and death, brought about by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e project reflects on a society where death is lost and seeks to evoke the essence of life that intersects with mortality.In the project, Yena Kim appears as the "Data Contractor," while YouTuber Ga-young Hong, who is battling illness, takes on the role of the "Data Provider." Yena Kim incorporates real data "extracted" from Ga-young Hong into the project's universe through the concept of "third-party intervention," blending it with diverse technologies and interdisciplinary artistic languages. In the transformative process where Ga-young Hong undergoes a metamorphosis into "Hong Ga-young-Meta," the project reveals the boundless possibilities of humanity's future through technology. At the same time, it ominously suggests a future where the collected data is continuously manipulated and implemented without regard to the free will of the original individual. Through this, the project portrays a contemporary technological society placed defenselessly within complex circumstances, offering an experience of the blurred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through a sequential artwork structure. By addressing "posthumous digital data," which may already have passed the golden hour for public discourse, the project embarks on a relentless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echnology. It revisits the ethical fractures caused by technology in the contemporary era and poses questions that society has overlooked as we face the imminent future.
Kr
프로젝트 [비표준 불멸 계약]은 경계를 허물고 우리 삶에 첨예히 스며든 기술사회 속 ‘사후 디지털 데이터’를 매개로, 기술이 가져다준 미래적 상상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윤리적, 사회적, 제도적 균열을 바탕으로 한다. 기술로 모호해진 삶과 죽음의 경계 속에서 죽음을 상실하는 인간사회를 성찰하며, 죽음과 맞닿아 있는 삶의 본질을 환기시킨다.
프로젝트에서 김예나는 ‘데이터 계약자'로, 투병 유튜버 홍가영은 ‘데이터 제공자’로 등장한다. 김예나는 홍가영에게서 ‘채취’한 실제 데이터를 ‘제3의 개입’이라는 개념을 통해 다양한 기술과 다원예술의 언어로 프로젝트 세계관에 접목시킨다. 또 하나의 존재로 변태 과정을 거친 홍가영-메타의 세계에서는 기술을 통한 인간 미래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수집된 데이터가 실제인물의 자유의지와 무관하게 끊임없이 조작, 구현되는 불온한 미래를 암시한다.
이로써 복합적인 상황에 무방비하게 놓인 동시대 기술사회를 그리며, 연속적인 작품 구조로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경험한다. 사회적 공론화의 골든타임을 지나고 있을지 모를 '사후 디지털 데이터’를 통해서 인간과 기술의 관계를 끊임없이 탐구하는 여정이다. 기술이 야기한 동시대의 윤리적 균열과 다가온 미래를 향해 사회가 놓친 질문들을 다시금 건넨다.
Technology and Ethics - Posthumous Digital Data
As society becomes increasingly digitalized, the tangible and analog forms of life are being
transformed into intangible "data (information)." Amidst the flood of data being continuously
generated, modern individuals are losing their senses, thoroughly unprotected. Not only are we
unable to cope with the vast amounts of data, but we also continually convert our real lives into
data, allowing ourselves to become part of this overwhelming flow. Whether we can restore the
agency of individual data fragments that flow beneath this surface remains uncertain. The growing
ambiguity surrounding personal agency and privacy in relation to data leads to questions such as,
"Is big data (technology) truly for humans?" and "Are we humans for the big data society and the
2. Research
future socie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Recently, this insensitivity to data is even disrupting the concept of human death. Despite the
strange connotations of terms like "posthumous (meta-human) labor contracts" and "digital
resurrection," the reality we have already encountered is becoming quite familiar. We are not only
resurrecting deceased individuals through digital technology but also engaging with their
posthumous activities based on their previous work. Perhaps we are passively witnessing an era
where political and cultural voices are shaped by the intervention of others and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rrespective of the deceased's wishes.
The project aims to borrow the real-time and perspective of terminal illness. It close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d "data" to explore the dynamics of . The lead, Ga-Young Hong,
and creator, Yena Kim,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and employer, approaching the
concept of contracting "digital immortality" and "digital labor (post-physical death)" through digital
technology. This exploration dramatically highlights the blurred boundaries between life and death
and the fear of an uncontrollable future. By investigating the loss of "death" in humanity, the
project aims to revive the meaning of life as a dual aspect of death, addressing the ethical
fractures of contemporary technology and posing the "questions that society should have asked"
about the future.
기술과 윤리- 사후 디지털 데이터
사회가 디지털화됨에 따라, 물질적이고 아날로그적인 삶의 형태가 비물질적인 ‘데이터(정보)’의 형태로 전환되고, 구축되어가는 데이터(정보)의 홍수 속에 현대인들은 철저히 무방비 상태로 감각을 잃어가고 있다.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 맞서지 못할 뿐만 아니라, 우리는 우리의 실제의 삶을 데이터로 전환해 끊임없이 데이터의 홍수 속으로 흘려보내며, 그 흐름의 일부가 되기어가기를 자초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 수면 아래로 흘러 침체된 개개인의 데이터 조각들의 주체성을 회복시킬 수 있는지는 미지수에 놓인다. 이처럼 점차 더욱 불분명해지는 데이터에 대한 개인의 주체성이나 프라이버시 문제는, ‘과연 인간을 위한 빅데이터(기술)인지’, ‘빅데이터 사회와 인공지능 미래사회(기술)를 위한 인간인지’하는 질문으로 이어진다. 최근 이러한 데이터에 관한 현대인의 무감각은 인간의 죽음까지 뒤흔들고 있다. ‘사후 (메타휴먼) 노동 계약’, ‘ 디지털 부활’ 등의 생경한 어감들이 주는 낯섦에 비해, 이미 도달한 현실의 풍경은 꽤나 익숙해져 간다. 우린 이미 죽어서 고인이 된 사람들을 디지털 기술로 부활시킬 뿐 아니라 생전의 활동을 기반으로 그들의 고용 활동을 마주하고 있다. 어쩌면 고인들의 의사와는 전혀 관련없는 타인과 인공지능 등의 신기술의 개입을 통해 정치적, 문화적 목소리를 내는 시대를 무감각하게 목도하고 있을지 모른다.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 시한부의 시간과 시야를 빌리고, ‘죽음’과 ‘데이터’라는 두 소재를 중첩시켜 <기술과 윤리>의 관계를 면밀히 관찰한다. 주연 홍가영과 창작자 김예나는 피고용인과 고용인이라는 관계를 설정하고, 디지털 기술을 통해 ‘(디지털) 불멸’, ‘(신체적 죽음 이후)디지털 노동’을 계약한다는 개념으로 접근한다. 이를 통해 모호해진 삶과 죽음의 경계선과 통제 불가능한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극적으로 이입시킨다. 그 속의 ‘죽음’을 상실하는 인간을 탐구함으로써, 죽음의 양면인 삶의 의미를 환기시키고, 기술을 통해 벌어지고 있는 동시대의 윤리적 균열과 다가온 미래를 향해 사회가 놓친 ‘물어야 했을 질문’을 다시금 건넨다.